중년의 아름다움, 까뜨린느
'시네 프랑스' 라는 프로그램을 통해 매주 화요일마다 
프랑스 고전, 예술 영화를 소개하는 하이퍼텍 나다에서
프랑수아 트뤼포의 <마지막 지하철>을 상영하던 날. 
  
평일 늦은 저녁시간임에도 무려 160분이라는 
긴 러닝타임의 영화를 감상하기 위해 한걸음에 달려온 
관객들로 극장 로비가 들썩였다. 
크지 않은 극장이지만 좌석은 금새 가득 찼고 
내 앞의 앞 좌석에는 <은하해방전선>의 
윤성호 감독도 자리해 있었다. 
그날은..
트뤼포의 작품을 스크린을 통해 보고있다는 사실만으로
벅찬 시간이었지만, 무엇보다 영화 <마지막 지하철>이 
한번 두번 더 보고 싶은 강렬한 영화라는 걸 확인해 
그럴싸한 영화와의 데이트를 한 셈이었다. 
까뜨린느 드뇌브의 매력 
뭐니뭐니해도 
영화의  시작부터 줄곧 한눈을 팔지 못한 이유는 
바로 까뜨린느 드뇌브 때문이었다. 
워낙 유명한 배우이기에 진작부터 
모습과 이름 정도는 매치시킬 수 있었지만 
예전부터 얼음처럼 차갑고 귀족적인 이미지가 
부자연스럽다고 생각했었다.  
'미인'이긴 하지만 금발의 마론인형처럼 
인공적인 분위기에 별 매력을 못 느꼈고,
그녀의 출연작 역시 볼 기회가 적었으니 
배우로서의 재능도 알아채기 힘들었다. 
- 이미 세자르상 여우주연상으로 인정받은 
  그녀의 명연기를 차치하고서- 
어제는 이상하게도 까뜨린느의 결벽에 가까운 
완벽한 정갈함이, 어찌보면 과장되게 정돈된 
깔끔한 모습이 아름다워 보였다. 
중년의 나이와 어울리지 않게 군살 없는 몸매와 
머리칼 한 올 한 올까지 정성스럽게 손질한 듯한   
깔끔한 헤어스타일. 거기에 티클 한 점 없이 
투명하고 맑은 피부가 그랬다. 
코트를 벗어 의자에 걸어놓는 손짓도 
황급히 계단 위를 걸어 오르는 걸음걸이도   
남편을 위해 스튜를 젖는 동작도 모두 우아했다. 
첫 공연을 성황리에 바치고 기쁨에 겨워 박수를 치며 
노래를 부르는 장면에선 소녀같은 천진함도 엿보였다. 
그녀의 나이를 짐작하게 하는 건 
오로지 깊은 눈, 무게있게 흔들리는 두 눈동자뿐이었다. 
나이가 들수록 거울 속 스스로의 모습에 소스라치게 
놀라지 않으려면 안을 채우고 겉을 다듬는 노력이 필요하다. 
깊은 눈동자와 정갈함으로 무장한 중년의 까뜨린느가 
뇌리에 콕 박힌 까닭은 아마도 내외면의 조화가 
탁월했기 때문이 아닐까. 
아쉽게도 <마지막 지하철>에서 마음을 사로잡은 몇몇 장면을 
찾을래야 찾을 수 가 없다. 모든 이미지가 저작권법에 의해 
보호되고 있어서인지 이미지 검색창이 
소극적으로 탈바꿈돼있다. 
영화 이야기를 할래도 음악 이야기를 할래도 
아무튼 어려워졌다. 반해버린 까뜨린느의 모습은 
기억 안에서만 훨훨 자유로울 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