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애플알러지

(480)
영원한 회귀란 ​​ - 뒤집어 생각해 보면 영원한 회귀가 주장하는 바는, 인생이란 한번 사라지면 두 번 다시 돌아오지 않기 때문에 한낱 그림자 같은 것이고, 그래서 산다는 것에는 아무런 무게도 없고 우리는 처음부터 죽은 것과 다름없어서, 삶이 아무리 잔혹하고 아름답고 혹은 찬란하다 할지라도 그 잔혹함과 아름다움과 찬란함조차도 무의미하다는 것이다. - 밀란 쿤데라의 . 기꺼이 내가 아닌 내가 되어가는 요즘. 무의미의 위로.
어젯밤 ​ 난 다양한 관계 안에서 어떠한 사랑도 존재할 수 있다고 믿는다. 이전의 상태로 돌아갈 수 없음에 사랑은 그 자체로 위대하다. 사랑은 행복과는 별개의 감정이지만, 사랑이 슬픔과 괴로움이 되는 경우가 허다하지만 ‘내가 네가 되는 경험’ 은 언제나 우리를 성장시킨다(고 생각한다). 난 늘 사랑(의 가능성)에 목말라 있거나 지금 이 사랑을 지키려 하거나 작은 행동과 말투에서도 사랑을 느끼려고 애를 쓰며 산다. 그러니까 사랑 없이는 살 수 없는 사람이다. 사랑의 경험으로 인생을 배운다. 어젯밤 제임스설터의 을 읽고서 생각이 조금 바뀌었다. 사랑에게 그럴만한 가치가 있나 묻게 됐다. 아, 사랑이 빠진 휑한 자리를 무엇으로 채워야 하나 먹먹한 상태가 되어, 뜬눈으로 긴 밤을 겨우 버텼다. 피곤한 아침에 다시 생각..
소개 ​​ 16년차 워킹맘. 회사 떠날 날만을 고대하는데 회사 얘기가 제일 재미있어요. 가족 넷이 사는데 남편이랑은 생사만 겨우 확인하고 아들 둘은 이름만 겨우 외워요. 쿨내 진동하는 우리가 좋아하는 곳에 모였다 흩어졌다 사는 꿈을 꿉니다. 혼자 있는 거 겁나 좋아하고 마음이 기꺼이 내어지지 않는 일은 굳이 하지 않아서 때론 외롭다 느끼지만, 좋아하는 사람들 곁에서는 자주 달뜨고 툭하면 만나자고 보채는 일이 일상의 동력이자 삶의 이유입니다. “우정 자유 그리고 사색”
가을 ​ ​ 바람결 따라 키큰 나무들이 한방향으로 흔들리는 모습에서 가을이 오는구나 한다. 봄의 설렘 여름의 찬란함으로 버틴 시간이 지나고, 드디어 스산한 가을이다. 달뜬 내가 가라앉는 시간. 가을을 탓하며 무거워져도 괜찮은 날들. 안다. 사랑하는 가을은 눈을 깜빡이는 만큼이나 짧을 거란 걸. 멜랑콜리의 시간 동안 저 깊숙한 나와 마주하면 방향 잃은 집시 한명이 보이겠지. 기꺼이 선택한 고립이지만, 가진 힘으로 다시 기대하고 꿈꾸겠지. 가을의 초입에 덧없는 것들을 선택한 시간의 대가를, 그러나 희망을 생각한다. - “사람들은 실로 많은 것을 갖고 있다. 아니, 많은 것을 갖고 있다고 생각한다. 그것들이 자신의 소유라고 진심으로 믿기에 그것들과 자신의 경계조차 모호하다. 지금 그 모든 것을 도둑 맞았다고 상상해..
살아지는 삶 원더휠 ​​ 겨우 믿었던 사랑도 그 사랑의 균열도 히스테릭한 슬픔도 지금 여기 바닥의 삶을 버티게 해 준다. 그리고 또 내일을 사는 거지. #원더휠 #아름답다이영화 #특히케이트윈슬렛
본성 ​ ​ 오직 흐트러지고 제멋대로 살거야. 이런 내가 아름답도록 노력할거야. 사는 이유가 있다면 마음을 다해 마음대로 해 보는 것. 자유에 어떤 이유도 달지 않는 것. 본성대로 사는 것. 스스로 책임지는 것.
아무튼 아침 ​ - 2년 넘게 눈뜨면 떠오르는 다섯가지 감사함을 적는다. 내가 이 짓을 하는 이유는 분명하다. 아파서. 언제쯤 괜찮아질까. 괜찮은 날은 오지 않는다고 생각하는 편이 나을까. 블랙미러 그리고 로제타와 함께 한 주말동안 희망 없음, 설명할 수 없는 심연 그리고 가슴을 후비는 비밀에 대해 생각했다. 그렇게 잠을 설치니 다시 아침. 아무튼 굿모닝.
서른 .. 마지막 날의 기록 12월의 마지막 날. 30대의 마지막 날. 오늘도 출근해 자리에 앉았다. 유난히 눈이 부었다. 오늘은 오늘답게 살짝 들떴지만 내일은 첫 날이니 가만가만히 읽거나 쓰고 싶다고 생각한다. 2018년은 런던에서 시작해 화정에서 끝난다. 어디든 나는 그대로의 나여서 때론 치열하고 가끔 헤매지만 또 긍정한다. 부족한 나여서 바랄 게 없다. 이런 모순도 제법 내 말로 설명할 수 있다니 한 때는 어떤 포기의 말 같아 주저하더니 마흔 앞에서 인정하며 웃는다. 진심이 되었구나. 여러 진심들을 좀 더 모아보기로 한다. 진심으로 마흔을 맞듯 진심만을 안은 채로 죽음도 맞고 싶다고 생각한다. 여전할 나의 화두. 나이듦 그리고 죽음. 2018. 12.31.